1. 이스라엘의 역사개관
[14] 십자군시대(주후 1099~1291년)
  십자군의 예루살렘 정복(1099), 아랍 살라딘 장군의 대승리(1187), 십자군 다시 강성 시작(1192), 십자군 기울기 시작(1244)
[15] 마믈룩시대(주후 1291~1517년)
  스페인의 유대인추방(1492) ※주후1392년:조선건국(이성계)
[16] 오스만터어키시대(주후 1517~1917년)
  예루살렘 성곽 건축(1520~1566), 나폴레옹 악고에서 패배(1799), 이집트 무하마드 알리 팔레스타인 통치(1831~1840), 터키의 통치 재개(1840), 첫번째 "알리야"(유대인 이민)-주로 러시아에서 귀환(1880~1903), 두번째 "알리야"-주로 동부유럽에서 귀환(1904~1909) ※주후1910년: 한일합방
[17] 영국 식민지시대(주후 1917~1948년)
  발포어 선언(영국이 유대인에게 팔레스타인 땅에서의 독립약속, 1917), 영국군의 예루살렘 점령(1917), 세번째 "알리야"-주로 동부유럽에서 귀환(1919~1923), 네번째 "알리야"-주로 동부유럽에서 귀환(1924~1932), 다섯번째 "알리야"-주로 나찌 독일의 난민으로 구성되어 귀환(1933~1939), 제2차 세계대전-히틀러의 600만 유대인 학살(1939~1945), 유엔총회에서 팔레스타인 분할안(아랍국가와 유대인국가) 통과(1947. 11.29, 유대인은 환영했으나 아랍인은 거부), 영국 식민지대표 팔레스타인에서 철수(1948.5.14)
[18] 현대 이스라엘시대(주후 1948년~현재)
  이스라엘 독립선언(1948.5.14)
독립전쟁(제1차전쟁, 1948-1949): 아랍5개국이 이스라엘을 침입(1948.5.15~1949.7)했으나 승리, 유엔에서 최초 결정한 땅보다 더 많은 영토 확보.
60만 명의 팔레스타인의 난민 출국, 전쟁 후 70만 명의 유대인의 아랍국가에서 도피. 국제연합의 59번째 회원국으로 가입(1949.5.11), 요르단이 요단강 서안지역 합병(1950)
시나이전쟁(제2차전쟁, 1956):
이집트 낫세르 대통령이 아스완 댐 건설로 인한 재정확보를 명목으로 수에즈운하(총길이 166km) 국유화 선언(1956.7.26), 영,불연합군이 수에즈운하 기습공격, 이스라엘이 사이반도 점령(1956.10.29~11.6), 시나이반도에서 철군(1957.11.7)
6일전쟁(제3차전쟁, 1967):
이집트 낫세르 대통령이 아카바만 봉쇄 후 이스라엘 국경으로 병력이동, 이스라엘은 선제공격하여 6일만에 승리(1967.6.5~6.10), 시나이반도, 골란고원, 요르단강 서안, 가지지역 점령. 유엔 결의안 242조의 점령지 철수(1967.11)를 거부하고 영토에 편입. 휴전 성립(1970.8)
욤 키프르 전쟁(제4차전쟁. 1973):
이집트 사다트 대통령이 시나이반도 공격, 시리아는 골란고원을 공격했으나 이스라엘 승리(1973.10.6), 유엔결의안 338조의 전쟁이전 상태로 철수, 휴전성립(1973.10.22). 일명 10월 전쟁이라 함.
평화협상(이스라엘-팔레스타인):
이집트 사다트 대통령 예루살렘 방문(1977), 이집트와 이스라엘간의 캠프데이비드협정 조약 조인(1979.3.6), 6일전쟁시 점령한 시나이반도에서 이스라엘군 철수(1982.4.25),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1982.6.6), 남부 레바논에서의 이스라엘군 철수(1985.10.26), 이스라엘과 PLO간 자치안 협정(1993.9.13), 팔레스타인 자치지역 허용(여리고, 가자지구, 1994), 요르단과 평화협정(1995), 라빈총리의 암살(1995.11.4), 와이리버 평화 협정(1998.10)
뒤로
다음페이지로
페이지 인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