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3. 요르단


요르단 국기의 빨강은 1916년의 대아랍혁명(The Great Arab Revolt)을 상징하고, 그밖의 3색은 아랍의 옛 왕조를 나타낸다. 검정은 아바스왕조, 하양은 우마이야왕조, 초록은 파티마왕조를 나타낸다. 빨강은 아랍의 피를, 초록은 비옥한 토지를, 하양은 고결함과 관용을, 검정은 적과의 싸움을 상징한다. 흰색의 7각 별은 《코란》 제1장의 7개 행(行)을, 별의 7개 각은 각각 신(神)·인류애·국민정신·겸손·사회정의·자비·대망(大望)을 나타내며 동시에 아랍인들의 통합을 상징한다. 1928년 4월 16일 제정하였다.
 
 
야외 원형극장
국가개요
■ 위치: 아라비아반도 북부
■ 면적: 8만 9342㎢
■ 인구: 539만 5000명(2003)
■ 인구밀도: 60.4명/㎢(2003)
■ 수도: 암만(Amman)
■ 정체: 입헌군주제
■ 공용어: 아랍어
■ 통화: 요르단 디나르(JD)
■ 환율: 1.00JD = 1.41$(2003.9)
■ 1인당 국민총생산: 3,750$(2003)
   
1. 암만 (Amman)
  암만(Amman)은 요단강에서 동쪽으로 약 75km 지점, 아라비아 고원 서쪽 끝, 해발 약 800m의 지대에 자리잡고 있다. 암만은 지금의 요르단(Jordan)의 수도이다. 요르단은 남한 크기와 비슷한 9만1천km2의 면적에 인구는 475만명에 불과한 나라로 제2차 세계대전이 종식 되자 1945년 아랍연맹에 가입했으며, 1946년 요르단을 수도로하여 트란스(동) 요르단 하심왕국으로 독립했다.
암만은 주전 5세기경 부터 있던 옛 도시이다. 성경에 암만은 “랍바”라 기록하고 있으며, 랍바는 암몬의 왕성(王城)이었다.
다윗은 암몬성을 공격하는 동안 하나님께 큰 죄악을 범했다. 해가 돌아와서 왕들의 출전할 때가 되매 다윗이 요압과 그 신복과 온 이스라엘 군대를 보내니 저희가 암몬 자손을 멸하고 “랍바”에 에워쌌고 다윗은 예루살렘에 그대로 있으니라 저녁때에 다윗이 그 침상에서 일어나 왕궁 지붕 위에서 거닐다가 그곳에 보니 한 여인이 목욕을 하는데 심히 아름다워 보이는 지라 다윗이 보내어 그 여인을 알아보게 하였더니 고하되 그는 엘리암의 딸이요 헷사람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였다.
다윗이 사자를 보내어 저를 자기에게로 데려오게 하고 저가 그 부정함을 깨끗케 하였으므로 더불어 동침하매 저가 자기 집으로 돌아갔다. 여인이 잉태하매 보내어 다윗에게 고하여 가로되 내가 잉태하였나이다 하였다.(삼하 11:1-5)
다윗은 그녀의 잉태를 감추기 위하여 전선에 나가있는 밧세바의 남편 우리아에게 3일간 특별휴가를 주어 아내와 같이 침상에서 시간을 보내게 하려고 불렀다. 그러나 우리아는 전투기간 중에 금욕생활의 전통을 지키고 전선의 바깥들에 있는 요압과 왕의 신복들을 생각해서 아내와 침상에 눕는 것을 거절했다. 한마디로 충성스러운 군인이었다. 그러나 다윗은 우리아에게 편지를 써서 요압에게 보냈다. 그 편지에 써서 이르기를 너희가 우리아를 맹렬한 싸움에 죽게하라 하였다.(삼하 11:15)
뒤로
다음페이지로
페이지 인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