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출애굽의 경로 |
① 북쪽 지중해연안의 고대 국제 해안도로를 따라 가나안땅으로 들어가는 지름길, ② 시나이반도의 중앙을 가로 질러 가데스바네아로 향하는 지름길, ③ 시나이반도를 우회하여 홍해연안을 따라 먼길로 시내산을 향하는 길이다.
당시 애굽에서 가나안으로 가는 국제해안도로의 길은 블레셋의 가사(Gaza)로 통하는 군사도로 였으므로 브레셋 군대의 완강한 저항에 의한 치열한 전쟁은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하나님께서는 블레셋 사람의 땅의 길은 가까울지라도 그들을 그 길로 인도 하지 아니 하셨으니 이는 하나님이 말씀 하시기를 이 백성이 전쟁을 보면 뉘우쳐 애굽으로 돌아 갈까 하셨음이었다.(출 13:17)
따라서 출애굽시에 북쪽의 지름길인 해안도로를 피하고, 굳이 시나이반도 중앙의 지름길을 택하지 않았으며, 하나님께서 모세와 약속한 시내산 언약을 이루기 위하여 우회적인 홍해 연안의 먼길을 택하게 한것이다.
즉, 너와 함께 있으리라 네(모세)가 백성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낸 후에 너희가 이 산(시내산)에서 하나님을 섬기리니 이것이 내가 너를 보낸 증거니라 하셨다.(출 3:12)
또한 논란이 되고 있는 “출애굽시 건넜던 홍해의 위치”는 세군데 지역으로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① 북쪽의 아바리스 동쪽에 위치한 멘잘레호(Menzaleh Lake)의 하구에 인접한 지역, ② 수에즈만에 인접해 있는 비터호(Bitter Lake)의 지역, ③ 수에즈만 내의 홍해의 해상지역을 건너는 세가지의 길이다.
역사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출애굽시기에 수에즈만 상단부는 오늘날 보다 훨씬 더 북쪽이었는데 토사가 밀려와 많은 부분이 매꿔졌다고 한다. 따라서 비터호를 통과한 출애굽 경로는 긍정적인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비터호와 동일시 할 수는 없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