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이스라엘의 땅>정치
유대율법에 의한 모든 재판관을 행사하며 자체 치안을 위한 치안관이 구속명령을 내릴 수 있었다. 그러나 사형에 해당 되는 재판권은 부여되지 않았다.
로마의 티투스장군에 의해 예루살렘이 점령(70년)되자 산헤드린은 야브네(Yabney)로 일시 이전했었다.
야브네는 욥바에서 남쪽으로 20km지점. 지중해 해안에서 6km내륙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후 90년 “암니야회의”결과로 구약성경을 결정한 곳이다.
크네세트(의회)
오늘날 이스라엘의 입법부인 의회는 4년마다 선거로 선출되는 120명으로 구성되어 법을 제정하고 행정부를 감독한다.
행정부의 수상은 내각수반으로써 실질적인 권한을 가진 자이다. 수상은 의회의 신임을 얻어야하며 반드시 의회 의원이어야 한다.
대통령은 선거후 의회의 다수당인 국회의원으로 내각을 구성하고 내각의 수상이 되어 줄 것을 요청하였으나 1992년3월에 수상의 직접선거를 요구하는 법안이 통과되어 수상을 직접선거로 선출된다.
이스라엘의 정당제도는 다당제로서 국가적 필요요구와 특별한 국가이익을 목적으로 구성되는 정당과 특별한 이익집단을 위하여 구성되는 정당도 있다.
이스라엘은 두 개의 주요 정당은 사회 민주적인 성향인 노동당과 중도우파와 민족주의를 지향하는 리쿠드당이 있다.
내각구성은 의회구성원 중 과반수 이상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지금까지 독자적으로 내각을 구성할 만한 의석을 차지한 정당이 없었기 때문에 연립정부를 구성해오고 있다.
크네세트 의원은 매4년마다 실시되는 비밀, 비례제에 의한 총선거에서 선출되며 정당에 투표한다.
총선거는 개인후보자에게 투표하는 방식이 아닌 정당면부제에 의해 투표하여 전국적으로 집계하는 비례대표제 방식을 따르고 있다.
이스라엘은 지방자치제도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50개의 시의회와 147개 지방의회가 있고 52개 지역 의회가 있다. 읍과 지방의회 의원은 크네세트에 각각 대표하는 국회의원 수에 비례하여 선출된다. 시장과 지역의회 단체장은 직접선거에 의해서 선출된다.
사법부는 완전히 독립되어 있다. 대법원은 9명의 대법관으로 구성되며 대법관은 대통령이 임명한다.
이스라엘은 모든 선거에서 선거권은 18세부터, 피선거권은 20세부터 가지게 된다.
대통령, 법관, 감사원장 및 참모 총장 등이 피선거권을 가지게 되는 경우 선거일 100일 전에 현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법원은 행정법원(지원, 1명의 판사), 지방법원(고등법원, 1-3명의 판사), 대법원 (3-5명의 판사), 특별법원(1명의 판사)그리고 종교법원(1-3명의 판사)으로 구분된다.
영국 의회에서 기증한 메노라
특히 종교법원에서는 종교에 관련된 사안과 유대인의 결혼, 이혼 및 개종에 대한 재판을 담당한다.

국회의사당 앞마당에 세워진 메노라는 1956년 영국 의회에서 이스라엘 국회에 기증한 것이며, 영국출신 유대인이 조각한 이 메노라의 크기는 높이 5m, 폭 4m 의 청동제품으로, 이 메노라는 일곱 줄기에 21개의 조각이 되어 있다. 이 조각에는 성경의 주요 역사와 인물들이 묘사되어 있다.
뒤로
다음페이지로
페이지 인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