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이스라엘의 땅>국방
[8] 국방(Defense forces)
  지역사령부는 ① 지역방위본부와, ② 동원사단(전시)으로 편성되어 지역방위 본부 밑에는 지역별-지역방어부대로, 그 안에 지구별-지구방어부대로 편성되어 평시에 적의 소규모 테러와 사보타지에 대비하고, 침투방어와 국경수비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지역(지구)방어부대는 전시와 평시를 막론하고 고정편성되어 있다.
지역방위군은 지역방어부대에 흡수편성되며 역종 관계없이 국경지대인 전략촌 및 내륙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예비군과 민방위로 통합 편성한다. 국경지역의 집단(키부츠) 및 협동농장(모샤브)과 기타 촌락에 거주하는 예비군은 중대단위로 편성하고 남는 자원은 전시에 동원소집되어 전투부대에 충원된다. 또한 키부츠와 모샤브는 소화기, 기관총, 박격포로 무장되어있다. 그리고 모든 예비전력은 지역사령부 지휘 하에 통합된다.
지역 사령부는 평시에 사단을 두지 않고 지역 여단을 지휘하는 체제를 유지하다가 전시에는 동원 예비군을 소집하여 사단을 편성한다.
민방위사령부(H.F.C)는 그간에 하가(HAGA)사령부라 불렀는데 1991년 걸프전쟁시 이라크의 SCUD미사일 공격에 대처한 교훈을 살려 Home Front Command 사령부로 개편했다.
민방위사령부는 현역소장(한국의 군사령관 계급)
이스라엘 여군
이 지휘하며 극소수의 현역군인이 골간이 되어 예비군, 민방위, 경찰, 소방관 등으로 통합기능을 수행하도록 편성되어 있다.
민방위사령부의 임무는 공습, 전략무기공격, 화학, 지대지미사일공격, 테러, 자연재해, 경보체계, 가스마스크, 방공호 등의 대비에 있다.
민방위 임무에 종사하는 자는 예비군 보상법에 따라 국고로부터 급여를 지급받는다.
이스라엘은 현역복무의 면제와 징집연기는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종교적 이유(수녀와 정통 유대교신자)로 본인이 현역근무를 원치 않을 경우 면제를 받는다.
이스라엘의 안보에는 남녀가 따로 없다
모든 남녀는 18세가 되면 징집되어 의무적으로 남자는 29세까지 3년간, 여자는 2년간 복무하게 된다. 의무복무를 끝내고 직업군인이 될 수 있으며 20년 복무 후 제대할 수 있다.
장교가 되는 사관학교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나 적격자를 선발하여 장교후보생학교에서 교육하여 장교로 임관시킨 후 복무하게 한다.
이스라엘의 모든 남녀는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군에 입대하여야 하며 제대 후 대학에 진학하게 되고 여자는 제대 후 결혼을 하게 된다. 그러나 군의 소요에 따라 군에 입대 전 대학에 진학시켜 군이 소요로 하는 전공과목을 습득시켜 졸업 후 군에 근무토록 하기도 한다.
예비역의 편성대상은 현역에서 제대 후 제1예비역에 남자는 21~39세까지, 여자는 자녀가 없을 경우 20~25세까지며, 기갑여단, 기계화사단, 공병돌격부대의 90%는 예비군으로 편성되어 있다. 제2예비역은 남자에 한하여 40~44세까지이다. Home Front Command로 개편될 때 예비군의 평균연령을 35세로 개편하였다.
이스라엘의 안보에는 남녀가 따로 없다
민방위대 편성대상은 남자로 45~54세까지이며 민방위요원과 후방긴요요원으로 구분된다.
전시에는 남자는 16~62세, 여자는 17~50세로 연장된다.
지방훈련소에서 실시하는 민방위훈련은 예비군에 준하여 연간 교육훈련은 30일이며, 비상사태시는 60일 이상으로 연장된다.
주민 대피시설은 공중대피소, 공중피난소, 개별대피소(가정)가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화생방전에 대비한 방독면은 유아용을 비롯한 7개 종류로 구분되어 전 국민이 개별 보유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거리와 버스 정류장에는 남녀를 막론하고 군복을 입고 무기를 휴대한 채 출,퇴근하는 모습을 많이 발견하게 된다.
뒤로
다음페이지로
페이지 인쇄하기